2025년 6월 3일 예정된 대한민국 조기 대선을 앞두고, 주요 후보인 이재명(더불어민주당), 김문수(국민의힘), 이준석(개혁신당)의 핵심 정책을 비교입니다. 각 후보는 경제, 복지, 정치 개혁 등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보입니다 (5월 15일 발표 기준입니다)
|
이재명 후보 (더불어민주당) |
김문수 후보 (국민의힘) |
이준석 후보 (개혁신당) |
경제 | AI·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100조 원 투자 국가 주도 산업 전략, 공공 일자리 확대 |
민간 중심 성장, 기업 규제 완화 가상자산 제도화, 원자력 산업 육성 |
청년 창업 촉진, 연금 개혁 시장 자율성 확대, 기득권 규제 해체 |
복지 | 청년·노년층 기본소득 추진 주 4.5일제 도입 검토 |
출산 장려금: 첫째 1천만 원, 둘째 2천만 원 지급 중산층 세제 감면, 자산 형성 지원 |
여성가족부 개편 통한 복지 개편 교통비 지원 중심으로 노인복지 정책 전환 |
부동산 | 공공주도 주택 공급 확대 (임대주택 포함) 실거주 중심 부동산 과세 체계 정비 청년·무주택자 위한 장기전세주택 확대 |
재건축·재개발 규제 완화 GTX 등 광역 교통망 확대를 통한 수도권 균형 발전 실수요자 중심 세금 완화 및 공급 촉진 |
청년 1인 가구 중심 소형 주택 공급 확대 임대 시장 자유화 및 과도한 규제 철폐 공공 공급 축소, 민간 주도 공급 확대 |
정치 개혁 |
검찰개혁 및 권력기관 개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(국회·대통령 집무실 이전) |
기업민원수석 신설 국민통합위원회 설립 |
정치 신인 진입 장벽 완화 기득권 해체 중심 정치 구조 혁신 |
반응형